최근 한복은 예복화되어 특별한 날에만 입는 의상으로 한정되어 가고 있다. 자주 입는 한복이 아니기 때문에 |
어쩌다 입으려면 입는 법을 몰라 쩔쩔매기 마련이다. 약혼식, 결혼식, 회갑연 등 특별한 날에는 피할 수 없이 |
꼭 입어야 하는 고유의상이기 때문에, 한복을 제대로 입는 법쯤은 익혀둘 필요가 있다. |
'옷 입기가 반 바느질'이라는 옛말은 오늘날에도 그 의미가 바래지 않는 명언이다. 특히 한복은 은은한 자태를 |
드러내기 위해 속옷을 알맞게 차려 입는 것이 중요하다. 가끔 씩 한복을 입게 되는 현대인들이 누구나 |
쩔쩔매며 맞닥뜨리게 되는 고름이나 대님매기 등의 한복 입기 절차를 살펴보자. |
|
여자한복 입는 법 |
① |
치마를 입는다. 치맛자락이 왼쪽으로 마무리 되도록 정리한다. |
② |
치마를 고정시키는 끈은 치마 중심에서 단단하게 묶어준다. |
③ |
속저고리와 저고리를 입고 동정과 깃의 모양이 틀어지지 않게 매만져 준다. 고름을 맨다. |
|
짧은 고름을 올려 한번 묶는다. |
④ |
묶은 짧은 고름 자락으로 고를 만들어 준다. |
⑤ |
긴 고름을 고 속으로 넣어 고름을 완성시킨다. |
⑥ |
버선을 신는다. 이 때 버선코가 정중앙에 오도록 유의해서 신도록 한다. |
|
|
1. 속 옷 입기 |
우선 한복을 맵시 있게 입으려면 속옷을 반드시 갖추어 입어야 한다. 속옷은 옷 맵시뿐만 아니라 땀의 흡수도 |
도와준다. 요즈음은 속옷으로 짧은 속바지를 입고, 다음에 버선 목까지 오는 긴 바지, 계절에 맞게 솜바지, |
누비바지, 고쟁이 등을 입는다. 가슴이 처진 사람은 브래지어로 바스트 포인트를 고정시키고 속치마는 겉치마 |
보다 2~3cm쯤 짧으면 된다. 속치마는 너무 부풀리지 않고 적당히 심이 들어간 A라인 페티코트나 전통 속치마를 |
입는 것이 더 우아한 느낌이 든다. |
|
2. 버선 신기 |
버선을 신을 때 주의할 점은 수눅(꿰맨 솔기)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는 것이다. |
오른발은 왼쪽으로 왼발은 오른쪽으로 가도록 양쪽으로 잘 잡아 당겨 신는다. |
|
3. 치마 입기 |
① 치마 어깨 걸이를 팔에 껴서 입는다. |
② 치마 겉자락을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왼쪽 위로 오게 해서 입는다. |
③ 오른쪽 끈은 치마말기 안쪽으로 빼서 앞으로 돌리면 흘러 내리지 않고 잘 고정된다. |
④ 중앙에서 묶어주면 저고리가 들뜨기 쉬우므로 겉 자락이 약간 왼쪽으로 오도록 매듭을 잡아준다. |
|
4. 속 저고리 입기 |
저고리 속에는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입는데 대개 엷은 색의 얇은 옷감으로 되어 있다. 특히 얇은 감일수록 |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꼭 갖춰 입어 속이 비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5. 저고리입기 |
저고리는 우선 왼쪽과 오른쪽의 동정니가 벌어지지 않도록 잘 맞춰 입는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깃 고대와 |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앞으로 약간 잡아당겨 입고 속적삼과 치마의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나오지 |
않도록 입는다. |
|
6. 고름매기 |
먼저 저고리의 동정니를 맞춰 안고름을 맨 다음 보조단추를 잠그고 겉고름을 반듯하게 맨다. 고름을 매는 |
방법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하면 된다. 고름을 다 매었을 때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Cm정도가 |
알맞으며, 고의 길이는 어깨의 깃 선과 비슷하게 맞추면 된다. |
① |
두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가볍게 잡는다 |
② |
짧은 고름은 위로 긴 고름은 아래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놓는다. |
③ |
짧은 고름을 안쪽으로 넣어 위로 잡아뺀다. |
④ |
짧은 고름을 돌려 잡고 긴 고름으로 고을 잡을 준비를 한다. |
⑤ |
긴 고름을 짧은 고름 안쪽으로 집어 넣는다. |
⑥ |
짧은 고름을 긴 고름 밑으로 넣어 아래 위를 팽팽하게 잡아 당기며 가지런히 정돈한다. |
⑦ |
고름을 제대로 맨 모양 |
|
|
7. 진동선 정리하기 |
한복은 입체적인 재단을 하는 양장과는 달리 평면재단 방식이라서 옷 매무새를 잡아 주어야만 옷 태가 제대로 |
난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가슴과 어깨 사이에 있는 진동선 부분이 불룩하게 솟아 오르는데 이때 양손을 올려 |
그 부분을 가볍게 잡고 바깥쪽으로 살짝 접어준다. 그러면 저고리가 몸에 착 붙어 한결 보기가 좋아진다. |
|
8. 노리개 달기 |
한복의 종류에 따라 노리개를 다는 법이 다르다. 당의를 입을 때에는 고름에 달고, 짧은 저고리를 입을 때는 |
노리개의 형태에 따라 고름이나 치마허리끈에 달기도 한다. 고름 쪽에 달 경우 노리개 걸이가 있을 때에는 |
고름매듭에 걸이를 걸고, 끈 고리일 경우에는 긴 고름에 고리를 끼워 놓고 고름을 맨다. |
|
9. 두루마기 입기 |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고 그 위에 마후라를 단정하게 매는 것이 예의이다. 두루마기를 입을 때에는 치마 |
뒷자락을 잘 여미고 허리띠를 매어 활동하기 편하게 한다. 페티코트를 입었을 경우에는 속치마로 갈아 입는 |
것이 좋다. |
|
10. 주의사항 |
① 신발은 꼭 한복에 맞는 고무신, 비단신, 가죽신을 신어야 한다. |
② 치마가 땅에 끌리지 않게 입는다. 바닥에서 2~3cm정도 떠서 신발코가 약간 보이는 게 적당하다. |
③ 손가방은 한복 전용 백을 사용한다. |
④ 한복을 입었을 때의 자세는 절대로 뒤로 젖혀서는 안된다. 다소곳하게 약간 앞으로 숙이는 듯한 자세를 |
취해야만 보기가 좋다. |
|
|
남자 한복 입는법 |
|
남자한복은 바지저고리와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를 입는데 외출시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걸쳐야 한다. |
남자한복은 허리 매는 법과 대님 치는 법만 익히면 어렵지 않게 입을 수 있다. |
① |
바지를 입는다. |
② |
허리를 조절했다면 허리띠를 메어준다. 바지 중심에서 고를 만들어 묶는다. |
③ |
저고리를 입는다. 우선, 겉에서 보이지 않는 속고름을 매어 준다. 속고름을 매어야만 옷이 |
|
뒤틀려 맵시를 망치는 일이 없다. |
④ |
저고리 고름을 맨다. 고름매는 방법은 여자 고름 매는 법과 동일하다. |
⑤ |
바지 대님을 맨다. 안쪽복숭아뼈에 바지깃을 대고 남는 부분을 앞중심에서 잡아준다. |
|
남는 여유분을 바깥쪽으로 꺾어준다. |
⑥ |
대님띠는 안쪽에서 시작해 한바퀴를 돌려 맨 다음 안쪽에서 묶어준다. |
⑦ |
조끼를 입고 단추를 채운다. |
⑧ |
마고자를 입는다. 좌우목선이나 깃이 잘 맞도록 매만져 마무리한다. |
|
|
1. 바지 입기 |
① |
바지는 우선 바지허리를 잡고 오른쪽으로 바짝당긴다. |
② |
왼쪽으로 접는다. |
③ |
허리끈을 맨다. |
|
1) 바지는 작은 사폭과 큰 사폭이 있는데,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는다. |
2) 오른쪽의 큰 사폭을 허리 중앙에 접어서 고정시킨 다음 왼쪽의 작은 사폭을 접어서 그 위에 포갠다. |
3) 허리띠를 고름 매는 것처럼 매어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도록 한다. |
4) 바지 아랫 부분은 대님 맨 곳을 여유있게 덮을 수 있도록 풍성하게 내려준다. |
|
2. 대님매기 |
① |
안쪽 복사뼈에 바지의 마루폭 선을 댄다. |
② |
발목을 돌려 싸서 바깥쪽 복사뼈에 갖다 댄다. |
③ |
매듭을 두번 돌려 묶는다. |
④ |
매듭이 안쪽 복사뼈에 오도록 한다. |
⑤ |
매듭을 리본으로 편하게 묶는다. |
⑥ |
대님으로 묶은 윗부분을 밑으로 잡아 당겨 모양새를 가다듬는다. |
|
|
3. 조끼와 저고리 입기 |
저고리가 조끼 밖으로 나오지 않게 입는다 |
|
4. 마고자 입기 |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조끼와 마고자는 여름철이 아니면 반드시 |
갖추어 입는다. |
|
5. 두루마기 입기 |
남자 두루마기는 의례적인 옷이므로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갖춰 입고 마후라를 단정히 매는 것이 예의이다. |
의식이 실내에서 거행되더라도 저고리 차림이 되면 예의에 어긋나므로 반드시 두루마기를 갖춰 입는다. |
* 출처: 황금바늘 ( http://www.goldneedle.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