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Excel_Word_PowerPoin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Excel_Word_PowerPoin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06-24

워크시트에 있는 눈금선 인쇄

* 출처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office/%EC%9B%8C%ED%81%AC%EC%8B%9C%ED%8A%B8%EC%97%90-%EC%9E%88%EB%8A%94-%EB%88%88%EA%B8%88%EC%84%A0-%EC%9D%B8%EC%87%84-fdb32f2a-8a5a-41fe-a5b0-0a734fdfade1


워크시트에 있는 눈금선 인쇄 - Microsoft 지원

최신 버전웹 기본적으로 Microsoft Excel에서는 워크시트나 통합 문서의 눈금선이 인쇄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워크시트를 인쇄할 때 눈금선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인쇄할 워크시트

support.microsoft.com

기본적으로 Microsoft Excel에서는 워크시트나 통합 문서의 눈금선이 인쇄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워크시트를 인쇄할 때 눈금선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인쇄할 워크시트를 선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나 이상의 워크시트 선택을 참조하세요.
  2. 팁: 여러 워크시트를 선택하면 워크시트 위쪽의 제목 표시줄에 [그룹]이 표시됩니다. 통합 문서에서 여러 워크시트 선택을 취소하려면 선택되지 않은 워크시트 중 아무 워크시트나 클릭합니다. 선택되지 않은 시트가 보이지 않을 때는 선택한 시트의 탭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하고 시트 그룹 해제를 클릭합니다.
  3. 페이지 레이아웃탭의 시트 옵션그룹에서 눈금선아래의 인쇄확인란을 선택합니다.

    참고:  시트 옵션그룹의 확인란이 흐리게 표시되면 워크시트에서 차트, 이미지 또는 다른 개체를 선택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체를 선택 취소하면 확인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파일탭을 클릭한 다음 인쇄를 클릭합니다.
  5. 바로 가기 키   Ctrl+P를 눌러도 됩니다.
  6. 인쇄단추를 클릭합니다.

다음 단계

인쇄검사 상자를 선택한 후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눈금선 미리 보기    – 눈금선이 인쇄되는 방식을 보려면 Ctrl+F2를 눌러 인쇄된 워크시트의 미리 보기를 표시하는 파일탭을 엽니다. 눈금선은 워크시트에서 실제 데이터의 둘레에만 인쇄됩니다. 빈 셀 둘레에도 눈금선을 인쇄하려면 해당 셀을 포함하여 인쇄 영역을 설정해야 합니다. 셀 둘레에 테두리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옵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워크시트에서 인쇄 영역 정의 또는 지우기 또는 워크시트에서 셀 테두리 적용 또는 제거를 참조하세요.
  • 눈금선 인쇄 문제 해결    – 워크시트를 인쇄할 때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거나 인쇄 미리 보기 창에 눈금선이 표시되지 않으면 초안 품질검사 상자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지 검사. 간단하게 인쇄확인란은 페이지 설정대화 상자의 시트탭에 표시됩니다. 페이지 설정대화 상자에 액세스하는 바로 가기 키는 Alt+P, S, P입니다.눈금선이 여전히 제대로 인쇄되지 않을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프린터 제조업체의 웹 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쇄할 셀 둘레에 테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워크시트에서 셀 테두리 적용 또는 제거를 참조하세요.


2025-06-20

[엑셀] 시트(sheet) 삽입/삭제/이동/복사/변경(이름, 탭 색) + 단축키(SHIFT+F11)

* 출처 : https://bam-saem.tistory.com/41


엑셀 파일(통합 문서)은 여러 시트(sheet)의 모임이고,

시트는 여러 셀(cell)의 모임입니다.

시트의 삽입, 삭제, 이동, 복사, 변경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파일의 시트는 약 255개 정도 생성 가능합니다.

단, 너무 많이 쓰면 프로그램이 무거워질 수 있으니, 

적당히 생성하는 것이 좋겠죠.

시트의 이름은 직관적이고 간략하게 작성하며 

30자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시트 탭에 입력되지 않는 특수 기호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시트 선택 

시트 탭을 클릭하면 시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속된 시트를 선택하고 싶으면 

Shift를 누른 채로 처음 시트와 마지막 시트를 클릭하고,

떨어져 있는 시트를 선택하고 싶으면,

Ctrl를 누른 채로 원하는 시트를 클릭합니다.

참고로, 두 개 이상의 시트를 선택하면,

파일명 옆에 [그룹]이 표시되며,

다른 시트를 클릭하면 그룹은 해제됩니다.

 시트 삽입 

엑셀 파일을 열면,

기본적으로 생성된 시트가 있으며,

새 시트를 삽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시트 선택 후,

마지막 시트 옆의  기호(동그라미 안에 십자 표시)를 클릭하면, 

선택한 시트 뒤에 새 시트가 삽입됩니다.

② 시트 선택 후, Shift + F11을 누르면, 

선택한 시트 앞에 새 시트가 삽입됩니다.

③ 시트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온 창에서  '삽입'을 클릭하면,

[삽입] 창이 열립니다.

그 창에서 '워크 시트'를 선택하면, 

시트 앞에 새 시트가 삽입됩니다. 

삽입 위치는 참고만 하세요.

삽입한 후에 이동할 수 있으니까요.

 시트 삭제 

시트를 삭제하는 단축키가 있긴 하지만,

저는 삭제할 시트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온 창에서

'삽입' 아래에 있는 '삭제'를 누르는 게 가장 편하더라고요. 

 시트 이름 변경 

이름 변경할 시트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온 창에서

'삭제' 아래에 있는 '이름 바꾸기'를 클릭하면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트의 이름을 

더블 클릭(마우스 왼쪽 버튼을 연속 두 번 클릭)하여

변경하는 것이 더 빠르고 편리합니다.

 시트 이동/복사 

이동할 시트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하여 나온 창에서

'이름 바꾸기' 아래에 있는 

'이동/복사'를 클릭하면 창이 열립니다.

열린 창에서 시트를 클릭하면,

클릭한 시트 앞으로 처음에 선택할 시트가 이동합니다.

또한, 이동할 시트 탭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시트를 끌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같은 창에서 시트를 클릭한 후,

확인 버튼 위에 있는 '복사본 만들기'에 체크하면,

클릭한 시트 앞으로 처음에 선택한 시트가 복사됩니다. 

또한, 복사할 시트 탭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상태에서 

Ctrl키를 누른 후,

시트를 끌어서 원하는 위치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


2025-05-11

[엑셀 통계] 45.입력된 셀에 입력된 셀을 참조하는 indirect 함수와 average의 활용예제.

* 출처 : https://statools.tistory.com/186#google_vignette


알아두면 굉장히 유용한 함수가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입력된 셀에 입력된 셀을 참조하는 함수입니다. 아래 예시를 보시면 쉽게 이해되실 것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평균,표준편차,최댓값,최솟값을 계산했습니다. 여기서 데이터가 하나 추가된다면, 각각의 수식을 모두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굉장히 번거로운 작업입니다.

만약 indirect 를 이용하여 정의되어 있다면, indirect 셀만 변경해주면 됩니다. 

2025-02-22

엑셀 파일 크기 줄이기, 실전 노하우 완벽 정리

엑셀 파일 크기 줄이기, 실전 노하우 완벽 정리

가장 효과적인 방법! xlsb 형식으로 저장하기

엑셀의 파일 저장 기본 형식인 (*.xls, *xlsx)을 바이너리 파일(*.xlsb)로 변경하면 최소 10% ~ 최대 35% 까지 파일 용량을 압축 할 수 있습니다.


오빠두Tip : 엑셀은 기본적으로 XML 구조로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XML 에는 태그와 같은 구조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다양한 프로그램과 호환성이 높은 장점 이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용량이 다소 커지는 단점 도 있어서,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 것이 목적일 경우 파일을 바이너리(*.xlsb)로 저장하면 파일 크기를 쉽고 빠르게 압축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파일] 탭 - [다른 이름으로 저장]에서 저장할 파일 형식으로  "Excel 바이너리 통합문서 (*.xlsb)"를 선택 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 → 바이너리 파일로 저장합니다.

예제 파일을 바이너리 형식으로 저장하면, 24MB → 14MB 로 약 40% 가량 압축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이너리 파일로 저장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파일을 바이너리 형식(*.xlsb) 사용 시 주의사항과 장/단점 비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1. 가장 쉽고 빠르게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므로 문제가 생길 경우 이전 파일로 쉽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2. 바이너리 파일은 기존 엑셀 파일보다 읽기 및 쓰기 속도가 빠릅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에서 더욱 빠르게 동작 합니다.
3. VBA 매크로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XML 파일은 외부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이 좋은 반면, 바이너리 파일은 호환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바이너리 파일은 파워쿼리/파워피벗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피벗테이블 원본 데이터 설정하기

피벗테이블을 사용한 엑셀 파일은 피벗테이블의 원본 데이터 설정을 변경해서 용량을 크게 압축할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피벗테이블을 생성하면 화면에는 보이지 않는 '피벗 캐시'라는 데이터 복제본, 즉 임시 데이터가 피벗테이블과 연결됩니다. 그리고 피벗테이블은 원본데이터 대신 피벗 캐시에서 데이터를 읽어옵니다. 즉, 피벗테이블을 생성하면 원본 데이터 + 피벗캐시로 중복된 데이터가 만들어집니다.

피벗테이블을 생성하면 '피벗캐시'라는 임시데이터가 같이 생성됩니다.

'피벗캐시'는 피벗테이블의 슬라이서, 보고서연결 등 여러 피벗테이블의 효율적인 동작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피벗테이블을 단순 보고서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피벗테이블의 원본 데이터 설정을 변경해서 파일 크기를 크게 압축 할 수 있습니다.


1. 원본데이터 시트를 유지하고 파일 압축하기 (권장)
  1. 피벗테이블을 우클릭 한 후, [피벗테이블 옵션] 으로 이동 합니다.
    '피벗테이블 옵션'으로 이동합니다.
  2. 새로운 창이 실행되면, [데이터] 탭에서  '파일 원본데이터 저장'을 체크 해제 하고  '파일을 열 때 데이터 새로고침' 을 체크 합니다. 이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을 종료합니다.
    '데이터' 탭으로 이동한 뒤, 피벗테이블 설정을 변경합니다.
  3. 파일을 저장하면 파일의 크기가 압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제파일의 경우 기존 19MB → 14MB로 24% 가량 압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벗 테이블 캐시를 제거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원본 데이터 시트를 완전히 제거하기

피벗테이블의 원본 데이터가 입력된 시트를 완전히 삭제하면, 피벗 캐시의 원본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방법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파일을 압축할 수 있습니다. 단, 원본데이터를 삭제하기 전에 반드시 '백업파일'을 저장 하도록 합니다.

  1. 피벗 테이블의 원본데이터가 작성된 시트를 우클릭 → [삭제]를 클릭 해서 시트를 삭제합니다.
    피벗테이블의 원본 데이터가 작성된 시트를 삭제합니다.
    오빠두Tip : 만약 전 단계에서 '원본 데이터 저장' 설정을 변경했다면, 기본 설정으로 변경 후 원본 데이터 시트를 삭제합니다.
  2. 원본 데이터 시트를 삭제하였으므로, [다른 이름 저장]에서 사본으로 파일을 저장 합니다.
  3. 파일을 저장 후 용량을 확인하면 기존 19MB →7MB로 약 60.7% 가량 파일이 압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벗테이블의 원본 데이터 시트를 삭제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화질 이미지 압축하기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고화질의 이미지를 압축 없이 그대로 엑셀 파일에 삽입하면, 파일의 용량이 급격히 커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엑셀에는 '이미지 압축' 기능이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TinyPNG 와 같은 무료 온라인 이미지 압축툴을 사용하면 품질은 유지한 상태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습니다.

  1. 예제파일에서 압축할 그림을 선택한 후, [그림 서식] - [그림 압축] 으로 이동 합니다.
    그림 서식 - 그림 압축 옵션으로 이동합니다.
  2. [그림 압축] 대화상자가 실행되면 해상도를 전자메일(96ppi)로 변경 합니다. 나머지 그림도 동일한 해상도로 변경합니다.
    그림의 해상도를 전자메일 수준으로 변경합니다.
    오빠두Tip : 단, IMAGE 함수와 셀 안에 이미지로 첨부한 이미지는 항상 원본 해상도로 첨부되며 해상도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파일을 저장한 후 용량을 확인하면 기존 19MB → 14MB로 약 23.4% 가량 압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줄어드는 용량은 첨부한 이미지가 많을 수록 증가합니다.
    첨부된 그림의 크기를 압축해서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함수를 값으로 변경하기

만약 공유하는 파일이 최종본이라면 파일을 공유하기 전 불필요한 함수를 제거해서 파일 크기를 압축할 수 있습니다. 단, 함수를 값으로 변경하고 파일을 저장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수식을 복구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복사본'으로 저장하는 것을 주의 합니다.

  1. 먼저 시트에 사용된 수식을 확인합니다. [수식] 탭 - [수식표시]를 클릭 하거나 단축키Ctrl+'(키보드 위쪽 숫자키 '1'의 왼쪽키)를 누르면 수식이 모두 표시됩니다.
    [수식 표시] 옵션을 활성화하면 시트에 사용된 수식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2. 또는 [홈] - [찾기 및 선택] - [이동옵션] 에서 '수식'을 선택 한 후, [확인] 을 누르면 시트에서 수식으로 작성된 모든 셀을 한 번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동 옵션 - 수식을 선택해서 수식으로 작성된 범위만 한 번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수식이 작성된 범위를 선택하고 Ctrl + C 로 복사한 후, Ctrl + Alt + V 로 선택하여 붙여넣기를 실행합니다. 선택하여 붙여넣기 대화상자가 실행되면 '값'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 을 클릭합니다.
    수식 범위를 복사 → 선택하여 붙여넣기에서 값 형태로 붙여넣습니다.
  4. 나머지 수식으로 작성된 범위도 모두 값으로 변경한 후, 파일을 복사본으로 저장 합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용량을 확인하면 기존 19MB → 17MB로 압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값으로 변경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시트 제거하기

만약 파일 안에 필요하지 않은 숨겨진 시트가 있다면 시트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시트 제거 후, 반드시 사본으로 저장하는 것을 주의 하세요!)

  1. 파일의 시트 목록에서 아무 시트를 하나 우클릭합니다. 우클릭 메뉴에 [숨기기 취소] 옵션이 활성화 되어 있다면 숨겨진 시트가 있는 것 이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시트 우클릭 메뉴에 '숨기기 취소'가 활성화 되었다면, 숨겨진 시트가 있는 것 입니다.
  2. [숨기기 취소]를 선택해서 숨겨진 시트를 표시합니다.
  3. "2017-2019" 데이터는 이번 보고서에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트를 제거합니다. 이후 파일을 저장합니다.
    숨겨진 시트를 표시한 후, 불필요하다면 시트를 삭제합니다.
  4. 파일 저장한 후 용량을 확인하면 기존 19MB → 16MB로 약 15.4% 가량 압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시트를 삭제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바이너리 파일 저장과 피벗테이블 원본데이터 설정 등 모든 파일 압축 과정을 적용하면 최초 24MB → 4MB로 약 81%의 파일 용량을 압축 할 수 있습니다.
    파일 크기를 줄이는 모든 단계를 적용하면, 약 80% 이상의 크기를 압축할 수 있습니다.


2025-02-10

엑셀 URL 인코딩(encode) 및 디코딩(decode) 함수 excel function [VBA]

엑셀 URL 인코딩(encode) 및 디코딩(decode) 함수 excel function [VBA]
출처: https://cocosoft.kr/442 [코코소프트:티스토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엑셀의 URL 인코딩과 디코딩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excel url encode decode )


엑셀2013 부터는
ENCODEURL 함수
가 포함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따로 decode함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사용자정의함수 설정을 해주어야합니다.

사용자 정의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VBA 를 켜줍시다.
단축키

Alt
+
F11

를 누르거나, 아래와 같이 리본메뉴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1. VBA 실행 후 모듈추가

Alt
+
F11

를 누르거나 개발도구탭을 통해서 VBA 편집기로 접속해줍니다.

해당 엑셀파일 문서에서 다음과 같이 모듈을 추가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ENCODEURL 함수와 DECODEURL 함수입니다.


Markup

Function ENCODEURL(varText As Variant, Optional blnEncode = True)
Static objHtmlfile As Object
If objHtmlfile Is Nothing Then
Set objHtmlfile = CreateObject("htmlfile")
With objHtmlfile.parentWindow
.execScript "function encode(s) {return encodeURIComponent(s)}", "jscript"
End With
End If
If blnEncode Then
ENCODEURL = objHtmlfile.parentWindow.encode(varText)
End If
End Function

Function DECODEURL(varText As Variant, Optional blnEncode = True)
Static objHtmlfile As Object
If objHtmlfile Is Nothing Then
Set objHtmlfile = CreateObject("htmlfile")
With objHtmlfile.parentWindow
.execScript "function decode(s) {return decodeURIComponent(s)}", "jscript"
End With
End If
If blnEncode Then
DECODEURL = objHtmlfile.parentWindow.decode(varText)
End If
End Function


2. 사용예


2024-11-27

엑셀(EXCEL) 도형에 수식을 넣기, 셀값을 참조해서 도형에 텍스트 넣기

엑셀(EXCEL) 도형에 수식을 넣기, 셀값을 참조해서 도형에 텍스트 넣기 

*출처 : https://toast-story.tistory.com/64


엑셀에서 셀에 텍스트를 넣어도 되지만, 표라는게 가끔 장애가 되고는 합니다.
도형에 텍스트를 넣으면 표현에 유리합니다. 여기에 자동으로 숫자 몇개가 알아서 변경되면 편리할 수도 있겠네요.
자주쓰는 기능은 아니지만 도형에 수식을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도형에 수식 넣기

① 텍스트가 없는 빈 도형을 선택합니다.
텍스트가 있는 도형에 수식을 넣으면 어차피 없어집니다.
빈 도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② 수식창에서 = 를 입력하고 셀을 선택합니다.

도형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식창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을 입력합니다.
이렇게 하면 강제로 셀과 그림이 연결됩니다.

이제 그림에는 텍스트를 입력하지 마시고 셀에 값을 변경합니다.


2. 수식을 넣기

도형에 "=셀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고해서 평범하게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로지 셀주소만 넣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식은 연결된 셀에 입력해야 합니다.


3. 여러가지 값을 넣는 & 연산자 활용하기

도형에 숫자 하나만 넣으면 너무 허전합니다.

여러 개의 문자와 숫자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한 개 셀에 여러개의 값을 참조 가능하게 해주는 &를 사용합니다.

아래 예시를 보시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이건 &와 "" 연산자, TEXT 함수까지 3개의 기능이 합쳐진 콤비네이션이죠.


4. CHAR 함수 활용해서 줄 바꾸기 입력

CHAR 함수까지 활용하면 이제 제대로 꾸밀수 있습니다.
우선 CHAR 함수는 ANSI 코드 문자를 불러냅니다.

CHAR(숫자) : Window 운영체제 기준으로 ANSI 코드의 값을 출력합니다.(맥에서는 맥 문자코드가 출력됩니다.)
이 글은 Window 기준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입력할 대상은 CHAR(09) : 가로 탭,  CHAR(10) : 줄 바꾸기 입니다.

이제 입력할 대상을 다 모였습니다.

이렇게 입력하면 앞으로는 이 박스는 알아서 값이 변합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수식이 상당히 깁니다. 이럼 실수할 여지도 많고요.
=B12&" : "&TEXT(C12,"YY-MM-DD")&CHAR(10)&B13&" : "&C13&CHAR(10)&E12&" : "&F12&CHAR(10)&IF(F12>=C13,"달성","미달성")

자주 사용할 만한 기능은 안되지만 유용한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