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Utilitie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tilitie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02-09

URL 인코더 디코더 프로그램(노트패드) 소개.






URL인코딩은 URL 스트링에 있는 텍스트를 모든 브라우저에 동일하게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URL은 ASCII 문자열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특성에 따라 "?", "&", "/" , 공백 문자 등 특수한 문자의 경우 변형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URL 인코딩이 필요합니다.

URL 인코더, 디코더 가능한 프로그램을 찾아보니 대부분 웹사이트에서 가능한 형태였습니다. 너무 간단한 기능이라 그런지 윈도우 유틸리티는 잘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웹에서 쉽게 인코딩 디코딩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복사 붙어 넣기도 지원했습니다.

일부 사이트에서는 사이즈 제한이 있었지만 아래 사이트는 제한 없이 인코딩 디코딩 테스트를 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 URL 디코딩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사이트 모음입니다.

사이트 활용


아래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쉽게 디코딩 인코딩해볼 수 있습니다.


Notepad++

윈도우 유틸리티는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었습니다. Notepad++에 플러그인 형태로 지원합니다. 사용법은 원하는 텍스트를 선택하고  메뉴 -  플러그인 - MIME Tools URL Encoder, URL Decode 선택하면 됩니다.

MIME Tools가 기본으로 설치되는 플러그인인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없다면 메뉴 - 플로그인 관리  - MIME Tools를 검색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피들러 유틸리티도 지원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Notepad++가 가장 편리해 보입니다.

2024-12-19

JDownloader2 인터넷 파일 / 동영상 다운로더 설치와 사용법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더)







JDownloader2는 오픈소스로 개발된 인터넷 파일 다운로드 프로그램으로 웹페이지를 다운로드 받거나 그 사이트에 있는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을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이용해서 메뉴에서 링크나 이미지 등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하는 방법이나 혹은 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 버튼 등을 활용하게 되는데요. 여러가지로 번거롭습니다. 

또 유튜브같은 동영상 사이트에서 영상만 다운로드 하고 싶을 때 방법을 몰라 헤메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튜브는 웹다운로더나 크롬 익스텐션을 이용해서 영상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긴한데 더 종합적이고 정교한 파일 다운로드 관리가 필요하면 JDownloader2가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공식 웹페이지에서 JDownloader 2를 다운로드합니다.


자신의 PC환경에 따라 설치합니다. 여기서는 윈도우즈 11에 설치했습니다.

설치는 간단합니다. Next를 계속 클릭합니다. 설치할 디렉토리를 지정하고 또 file association (연관 파일 확장자)은 필요에 따라 선택합니다.


JDownloader 2를 실행해봅니다. 메뉴가 있고 탭이 네개 있습니다. 다운로드는 실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보는 창이고 링크 추출기는 웹사이트의 링크를 붙여넣는 곳 입니다.


그냥 다운로드 부터 시작할 수도 있지만 먼저 설정에 들어갑니다. 저장할 디렉토리를 정해주고 최대 동시 다운로드 수를 정해줍니다. 동시 다운로드를 늘리면 여러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받을 수 있겠지만 그런 만큼 브라우저의 속도도 느려지게 됩니다. 자신의 컴퓨터 사양을 보고 적당한 수를 정합니다. 

호스트 당 최대 동시 다운로드도 정할 수 있는데, 하나의 호스트에 너무 많은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있으면 봇감지를 당하거나 접속 종료를 시키는 서버도 있어서 이를 감안하고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중요한게 다운로드 당 최대 분할 수는 하나의 파일을 다운로드 할 때 분할하여 다운로드 하는 방식에 적용됩니다. 

분할을 잘하면 파일 다운로드 속도는 빨라지지만 이것도 호스트 입장에서는 부담이라 적당히 분할하는게 좋습니다.


그 밖에 계정관리, 인증관리하는 설정이라던가 각종 호스트에 적용하는 플러그인 등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JDownloader 2로 동영상 다운로드하기

동영상 사이트 Vimeo에서 다운로드를 받아보겠습니다. 동영상 페이지로 들어가서 주소를 복사합니다.


링클추출기의 '새로운 링크를 추가'하고 링크 주소를 넣습니다. 분석이 끝나면 링크가 표시되는데 하나의 동영상 파일이라도 해상도에 따라 3개가 잡힙니다. 가장 해상도가 높은 파일만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으면 되겠네요.


링크 추출기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다운로드를 시작합니다. 다운로드가 시작되면 개별 파일의 크기와 속도 진행률을 알 수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

유튜브 파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유튜브 동영상 페이지의 링크를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파일들이 나오는데 4K의 비디오 용량이 520MB 입니다. 

(4분 정도의 동영상) m4a는 음원파일로 영상없이 음악이나 소리만 재생할 때 사용합니다. txt는 설명이 나와있고 srt는 자막 파일입니다. 팟플레이어에서 재생하면 자막도 볼수 있습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네이버나 다음 처럼 사이트 구조가 복잡한 링크를 추가하면 필요한 파일을 찾는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 메인 페이지의 링크를 추출한 결과입니다. 

호스트에서 다운로드 항목이 220개가 넘게 나옵니다. 이래서는 원하는 파일을 찾기도 힘드니까 개별 링크 주소를 찾는 일이 중요합니다.


요즘 시대에 다운로드 앱이 딱히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잘 사용하면 브라우저 보다 다운로드 속도도 잘나오고 여러모로 수고를 덜어주기도 합니다.

사이트에 따라 인증이 필요해서 링크 추출이 안되는 경우 등도 있으니까 주의해서 사용하도록 합니다.


2024-09-10

[1단계 선택] Windows 11, 디펜더 컨트롤(Defender Control) v2.1

* 출처 : https://jsb000.tistory.com/m/3354


오랫동안 기다렸는데, 업데이트되었네요...ㅎ

Windows 11에서 작동을 안하는 문제가 해결된 듯 합니다...

다운로드 : 비번 풀어서 올리려했더니, 티스토리에서 잡아버리네요...ㅠ


압축 비밀번호 : sordum

버전 2.1도 디펜더가 잡아버린다고 합니다....ㅠ

윈도우 디펜더의 실시간 보호를 끄고, 디펜더 컨트롤 작동시키면 됩니다. ^^

[디펜터 컨트롤(dControl.exe)를 디펜더에서 제외시키는 방법]



그래도 디펜더가 잡아버리면 아래 링크에서 두번째 프로그램 사용하세요...


----------------------------------------------------------------------------------------------------

2024-08-24

SNI우회차단 길호넷 시크릿 dns 다운로드 사용방법


길호넷 시크릿 dns

SNI 감청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깊게 살펴보자면 조금 어려운 내용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개인이 어떤 웹사이트를 이용했는지 알 수 있는 기술이에요. 재작년 불법 유해사이트를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는 규제 사항이었는데 오히려 개인의 사생활이 보장 받을 수 없다고 하면서 한참 난리가 났었던 개념이죠.

당연히 이런 정보는 확인하지 않는다는 공식 답변이 있지만... 못하는 것과 안하는 것의 차이는 크다고 합니다. 마음만 먹으면 볼 수 있다는 것이니까 말이에요.

안그래도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는데 이를 알 수 있다는 것은 내 모든 것을 알 수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SNI 감청으로 인한 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SNI 감청을 우회하는 방법을 찾게 되고 시중에 많은 프로그램들이 이를 도와줍니다.

아래에서 sni 감청을 우회해해주는 프로그램인 길호넷의 시크릿 dn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길호넷 홈페이지

구글에서 길호넷 시크릿dns를 검색해주세요.(https://kilho.net/)

이렇게 검색하면 길호넷 사이트 중 시크릿dns 페이지로 바로 접속이 가능해요.


시크릿DNS는 DNS를 암호화 시켜주는 솔루션이라고 합니다.


설명을 지나 "다운로드" 항목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시크릿 dns의 특징부분을 읽어보시면 어떤 역할을 하는 솔류션인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페이지가 나타나면 조금 있다가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게 됩니다


프로그램 설치는 간단하게 끝나네요.


프로그램 실행화면이에요. 이것저것 잴 거 없이 바로 "실행하기" 버튼으로 SNI 감청을 우회해보세요.


환경설정에서 DNS초기값, SNI 보호, 알림, 예외목록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시크릿DNS 실행하기 버튼을 누른 화면이구요. 아래 "실행중" 표시가 나고,


우측 하단에 작업 알림에 아래 알림이 표시가 됩니다.


불안하신 분들은 위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서 불안감을 조금이라도 떨쳐보시길 바랍니다.~~~


2024-07-21

VLC 플레이어 단축키 정리

* VLC 플레이어 단축키 정리해봅니다.



동작 단축키
전체화면 f
전체화면 나가기 Esc
재생/일시중지 Space
일시중지 브라우저 정지
재생 브라우저 새로고침
1x 빠르게 +
1x 느리게 -
기본 속도 (1x) =
0.1× 빠르게 ]
0.1× 느리게 [
다음 n
이전 p
정지 S
위치 t
매우 짧게 뒤로 이동 Shift+Left
매우 짧게 앞으로 이동 Shift+Right
짧게 뒤로 이동 Alt+Left
짧게 앞으로 이동 Alt+Right
중간 뒤로 이동 Ctrl+Left
중간 앞으로 이동 Ctrl+Right
길게 뒤로 이동 Ctrl+Alt+Left
길게 앞으로 이동 Ctrl+Alt+Right
다음 프레임 e
활성화하기 Enter
탐색: 위로 Up
탐색: 아래로 Down
탐색: 왼쪽 왼쪽
탐색: 오른쪽 오른쪽
DVD 메뉴로 이동 Shift+m
이전 DVD 타이틀 선택 Shift+o
다음 DVD 타이틀 선택 Shift+b
이전 DVD 챕터 선택 Shift+p
다음 DVD 챕터 선택 Shift+n
종료 Ctrl+q
볼륨 높임 Ctrl+Up
볼륨 낮춤 Ctrl+Down
음소거 m
자막 싱크 느리게 h
자막 싱크 빠르게 g
자막 싱크: 오디오 타임스탬프 책갈피 Shift+h
자막 싱크: 자막 타임스탬프 책갈피 Shift+j
자막 싱크: 오디오 & 자막 타임스탬프 동기화 Shift+k
자막 싱크: 오디오 & 자막 동기화 초기화 Ctrl+Shift+k
자막 위치 위로
자막 위치 아래로
오디오 싱크 느리게 k
오디오 싱크 빠르게 j
오디오 트랙 순차 선택 b
오디오 장치 순차 선택 Shift+a
자막 트랙 역순 선택 Alt+v
자막 트랙 순차 선택 V
자막 토글하기 Shift+v
다음 프로그램 서비스 ID 순차 선택 X
이전 프로그램 서비스 ID 순차 선택 Shift+x
소스 화면 비율 순차 선택 a
영상 잘라내기 순차 선택 C
자동 크기조절 토글하기 0
크기조절 비율 늘리기 Alt+o
크기조절 비율 줄이기 Alt+Shift+o
디인터레이싱 토글하기 d
디인터레이스 모드 순차 선택 Shift+d
전체화면에서 조작바 보이기 i
보스 키
컨텍스트 메뉴 메뉴
비디오 스냅샷 찍기 Shift+s
녹음/녹화 Shift+r
화면 크기 Z
화면 크기 초기화 Shift+z
비디오 출력의 배경 모드 토글하기 W
비디오 상단: 한 픽셀 잘라내기 Alt+r
비디오 상단: 한 픽셀 붙여넣기 Alt+Shift+r
비디오 왼쪽: 한 픽셀 잘라내기 Alt+d
비디오 왼쪽: 한 픽셀 붙여넣기 Alt+Shift+d
비디오 하단: 한 픽셀 잘라내기 Alt+c
비디오 하단: 한 픽셀 붙여넣기 Alt+Shift+c
비디오 오른쪽: 한 픽셀 잘라내기 Alt+f
비디오 오른쪽: 한 픽셀 붙여넣기 Alt+Shift+f
무작위 r
일반/순환/반복 Page Up
관측점 시야 축소하기 (360°) Page Down
관측점 시야 확대하기 (360°)
시계 방향으로 시점 회전하기 (360°)
반시계 방향으로 시점 회전하기 (360°)
1:40x Alt+1
1:2 - 1x Alt+2
1:1 - 1x Alt+3
2:1 - 2x Alt+4
재생목록 책갈피 1 설정하기 Ctrl+F1
재생목록 책갈피 2 설정하기 Ctrl+F2
재생목록 책갈피 3 설정하기 Ctrl+F3
재생목록 책갈피 4 설정하기 Ctrl+F4
재생목록 책갈피 5 설정하기 Ctrl+F5
재생목록 책갈피 6 설정하기 Ctrl+F6
재생목록 책갈피 7 설정하기 Ctrl+F7
재생목록 책갈피 8 설정하기 Ctrl+F8
재생목록 책갈피 9 설정하기 Ctrl+F9
재생목록 책갈피 10 설정하기 Ctrl+F10
재생목록 책갈피 1 재생하기 F1
재생목록 책갈피 2 재생하기 F2
재생목록 책갈피 3 재생하기 F3
재생목록 책갈피 4 재생하기 F4
재생목록 책갈피 5 재생하기 F5
재생목록 책갈피 6 재생하기 F6
재생목록 책갈피 7 재생하기 F7
재생목록 책갈피 8 재생하기 F8
재생목록 책갈피 9 재생하기 F9
재생목록 책갈피 10 재생하기 F10
재생목록 비우기 Ctrl+w
자막 텍스트 크기 초기화하기 Ctrl+0
자막 텍스트 작게 Ctrl+Mouse Wheel Up
자막 텍스트 크게 Ctrl+Mouse Wheel Down


VLC 플레이어 이미지 캡쳐 방법

VLC 플레이어 이미지 캡쳐 방법

* 출처 : https://aboutmi.tistory.com/485

VLC 미디어 재생기는 오픈소스 동영상 플레이어입니다.
무료 라이센스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가 있고, 광고나 기타 제약이 없어
아주 쾌적하게 사용을 할 수 있는 플레이어 입니다.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영화를 캡쳐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VLC 플레이어를 이용해서 화면을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냅샷 기능을 이용한 화면 캡쳐
화면을 캡쳐하기 위해서는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어느 플레이어 보다도 화면이 자연스럽게 캡쳐가 됩니다.
프레임을 잘게 쪼개는지 모르겠지만,
재생중에 화면을 캡쳐해도 정지화면 처럼 아주 자연스럽게 화면이 캡쳐가 됩니다.
그래서 주로 이 플레이어를 이용해 영상을 캡쳐하고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지 않았다면 기본적으로 스냅샷 버튼이 없습니다.
여기에 스냅샷 버튼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

도구에서 인터페이스 설정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의 이미지처럼 도구바 편집기가 보입니다.


여기서 스냅샷을 자신이 원하는 곳에 놓으면 버튼이 생기게 됩니다.
저는 라인2에 주로 놓기 때문에 끌어놓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인2에 버튼이 생겼습니다.
다시 창을 닫고 플레이어에 돌아오면 화면에 버튼이 생긴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버튼이 생긴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설정을 마치면 다 된것입니다.

이제 재생중에 캡쳐를 하면 화면이 저장이 됩니다.
[
단, 저장된 이미지가 PC 의 문서 디렉토리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귀찮을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럴때는 자신의 찾기 편한 위치에 저장이 되도록 설정을 하면 됩니다.


간편 환경설정 화면에서 폴더 위치를 정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캡쳐를 할 때마다 해당 디렉토리에 이미[지가 자동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여러 플레이어를 사용해 봤지만, VLC 플레이어가 가장 가볍고 사용하기가 편리합니다.
무료에다가 고성능이기 때문에, 항상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사용을 해보지 않으셨다면 한번 이용해 보시기를 권합니다.


2024-04-26

모르면 손해 EXE 파일 뜯어보기(압축풀기)

모르면 손해 EXE 파일 뜯어보기(압축풀기)


exe파일을 비교해야 할 때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
파일의 수정 날짜, 크기(용량), 이름?
이 방법으로는 파일의 내용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 수가 없다.

방법은 exe 파일을 분해해보는 것이다.
exe파일도 분해가 가능하다.

과거 윈도우xp, 윈도우7을 사용하던 때에는 [Universal Extractor]( https://www.legroom.net/software/uniextract)라는 오픈소스 툴을 사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툴은 메인테이너가 더이상 유지보수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오픈소스인만큼 이 프로젝트를 복제(포크) 한 비공식 버전이 여러가지가 나타났고, 그 중 [Universal Extractor 2(UniExtract2)]( https://github.com/Bioruebe/UniExtract2)라고 불리는 버전이 최근까지도 개발되고 있다.(글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 2개월 전 수정 이력이 남아있다.)

pgadmin4-5.0-x64.exe 압축 해제 해보기

1. Universal Extractor 2를 다운받는다.

2. Universal Extractor 2를 실행한다


3. ...을 클릭해서 압축 해제할 파일(pgadmin4-5.0-x64.exe)를 불러 온다.


4. '확인'을 눌러 압축 해제를 시작한다.

5. 결과물 확인


왜 exe 파일은 분해가 가능할까?

exe 파일 분해에 대해 이해하려면 PE 포맷을 먼저 알아야 한다.

Portable Executable. 즉, 설치없이 실행가능한 이 형식은 Windows 3.1 부터 지원되는 실행 파일 형식 중 하나다.
Portable이라는 단어의 뜻처럼 Windows 뿐만 아니라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사용가능하게 하려는 의도로 개발되었으나 Windows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PE형식의 파일

실행 파일 계역 : EXE, SCR(스크린세이버)
라이브러리 계열 : DLL, OCX(Active X), CPL, DRV
드라이버 계열 : SYS, VXD
오브젝트 파일 계열 : OBJ(OBJ파일은 오브젝트 파일이므로 실행 할 수 없다)

위 예시에 나온것처럼 윈도우 exe파일(executable 파일)은 PE 포맷을 사용한다. 파일 실행을 할 때 그 파일의 실행 가능한 크기를 계산하고 오버레이(overlay)라 부르는 데이터가 추가된 그 파일의 압축해제(unpack)를 푼다. 이때 해야 할 일은 오버레이 오프셋(offset)을 찾고 압축해제하는 것이다. 오버레이 오프셋을 찾기 위해서 헤더(header)와 세그먼트(segment)를 더한 크기를 계산해야 한다.


PE파일의 구조


PE 파일의 구조. 출처 : https://corkamiwiki.github.io/PE


2024-04-24

EXE 실행파일 압축푸는 UniExtract 압축해제 프로그램 사용법




오늘은 조금은 전문적인 내용이 될수도있는
EXE 실행파일의 압축을 푸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설치/실행 파일은 하나지만 그 안에는 여러가지 파일들이 합쳐져있고
실행과 동시에 임시폴더에 압축이 풀리고 실행이 되거나 설치가 되게 동작이 됩니다.
사용자 입장에선 파일도 하나라 가지고 다니기 편하고 사용하기 편해서 좋죠? ^^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 파일을 분해할 이유가 없겠지만
오늘은 화면이 안뜨고 부팅이 안되는 증상으로 노트북수리 맡기신
도시바 노트북 BIOS 업그레이드를 위해 바이오스를 빼내는 작업을 하려고
파일을 해제했는데 그 방법을 포스팅합니다.


TOSHIBA Satellite C850 노트북 바이오스를 실행파일로 된 압축파일로 받았습니다.


이런애들은....그냥 알약으로 풀어도 압축이 풀립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압축파일을 풀어서 내용을 봤는데 여기에 있는 실행 파일은



똑같이 보통 압축파일로는 압축이 풀리지가 않고 에러가 납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UniExtract 입니다.


사이트로 접속해서





다운로드 후 설치해주세요


그럼 알약, 반디집처럼 압축을 풀수있는 메뉴가 생기고
UniExtract로 압축을 해제하면


실행파일 내에 있는 모든 파일의 압축이 풀리게 됩니다. ^^

저는 이 파일내에 바이오스 롬파일을 빼내기 위해서 사용했지만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시다가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일은 거의 없을거에요....^^

2024-04-19

노트패드++ (notepad++) 메뉴 한글 전환하기

노트패드++ (notepad++) 메뉴 한글 전환하기


노트패드++ 을 받으면 기본 메뉴들의 언어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노트패드++ 은 대부분의 언어를 지원하기 때문에 한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설정해서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무

료 노트패드++ 를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와 영어에서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노트패드++ 을 다운받기 위해 구글 검색엔진에 "notepad++" 을 입력합니다. 유사 사이트가 많고 잘못 다운받았다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네이버나 구글 같은 포털 사이트를 이용해서 제일 상단에 뜨는 곳으로 들어가 받습니다.


▼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파일의 종류는 4가지입니다. 설치하지 않고 바로 실행되기를 원한다면 zip package, 7z package 를 다운받습니다.


▼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면 메뉴가 영어로 나옵니다. 기본 언어가 영어로 세팅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영어에서 한글로 변환하기 위해 상단 Settings > Preferences 메뉴를 클릭해서 설정 화면을 엽니다.


▼ 설정 화면 왼쪽 목록의 제일 상단에 General 선택합니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가서 Localization 을 "한국어" 로 선택합니다.


▼ 언어 설정이 끝나고 다시 메뉴 목록을 보시면 그림처럼 한글로 바뀌어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