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AutoCA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AutoCA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03-30

(오토캐드)치수 스타일!선형 치수, 원형 치수, 지시선 작성 및 편집 방법!

* 출처 : https://blog.naver.com/zwcadtech/221165606641
문자를 입력할 때 문자 스타일을 설정하고 적용하는 것처럼 치수를 기입할 때에도 치수 스타일을 먼저 설정하고 적용하여야 합니다.
치수 스타일에는 치수 문자, 치수선, 치수 보조선의 형태와 크기, 색상 등을 설정하게 됩니다.

1

'DIMSTYLE' 명령을 실행

■ 현재 치수 스타일: 현재 적용되어 있는 치수 스타일의 이름이 표시
■ 스타일: 치수 스타일 목록이 표시
■ 리스트: 스타일에 표시할 조건을 설정
■ 현재로 설정: 선택한 스타일을 현재 치수 스타일로 설정
■ 새로 만들기: 새로운 치수 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새 치수 스타일 대화상자 표시
■ 수정: 선택한 스타일의 설정을 변경
■ 재지정: 스타일에서 선택한 스타일의 값을 재지정
■ 비교: 지정한 2개의 치수 스타일을 비교하여 다른 내용을 표시
■ 설명: 선택한 스타일에 대한 설명 표시



선형 치수 작성 및 편집
[선형 치수 DIMLINEAR]

가장 보편적인 치수 기입 방법으로 치수선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형식입니다.
치수를 측정할 두 점을 선택한 후 치수선이 위치할 곳을 지정하면 치수선과 치수가 기입됩니다.

2


■ 명령어: DIMLINEAR
■ 단축키: DLI
[연속 치수 DIMCONTINUE]

연속 치수는 이전에 만든 치수를 이용해 연속으로 치수를 기입하는 명령어 입니다.
이전에 만들어진 치수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 명령어: DIMCONTINUE
■ 단축키: DIMCONT
[정렬 치수 DIMALIGNED]

경사진 선형 치수를 입력하는 명령으로 측정된 두 점과 평행한 방향으로 치수선이 기입됩니다.

4


■ 명령어: DIMALIGNED
■ 단축키: DAL

[꺾어진 선형 DIMJOGLINE]

선형 치수나 사선 치수에 꺾기 선을 추가합니다.
옵션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5

■ 명령어: DIMJOGLINE
■ 단축키: -
 

원형 치수 작성 및 편집
[반지름 치수 DIMRADIUS]

원이나 호의 반지름을 표시하는 명령입니다.
객체의 형태에 따라서 중심점이 멀리 위치할 수도 있으므로 중심점 위치에 적합한 치수를 기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 명령어: DIMRADIUS
■ 단축키: DIMRAD
[지름 치수 DIMDIAMETER]

원이나 호의 지름을 표시하는 명령입니다.
반지름 입력 형태와 같습니다.


6

■ 명령어: DIMDIAMETER
■ 단축키: DIMDIA

[중심 표식 DIMCENTER]

원이나 호 같은 곡선 객체에서 중심점을 표시하는 명령입니다.
중심점 표식 형태는 치수 스타일에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7


■ 명령어: DIMCENTER
■ 단축키: -

[호 길이 치수 DIMARC]

호의 길이를 측정하여 기입하는 명령어입니다.

8


■ 명령어: DIMARC
■ 단축키: -

[각도 치수 DIMANGULAR]

선택한 두 선의 각도를 기입하는 명령입니다.


9

■ 명령어: DIMANGULAR
■ 단축키: DIMANG
 
지시선 작성 및 편집
[지시선 LEADER]

지시선을 뽑아 주석을 만드는 명령입니다.

■ 명령어: LEADER
■ 단축키: LEAD


10

[신속지시선 QLEADER]

■ 명령어: QLEADER
■ 단축키: -


※ 주석 유형 [여러 줄 문자/ 객체 복사/ 공차/ 블록 참조/ 없음]
※ 여러 줄 문자 옵선 [쪽에 대한 프롬프트/ 항상 왼쪽 자리 맞추기/ 프레임 문자]
※ 주석 재 사용 [없음/ 다음 재사용]


11


※ 지시선과 화살표 [지시선/ 직선/ 스플라인]

※ 점수: 지시선이 꺽이는 포인트의 수를 지정합니다.
입력하는 추히만큼 지시선을 꺽을 수 있으며, 최대 수치 이내에서는 중간에 멈출 수 있습니다.

※ 화살촉: 지시선 시작점의 화살촉 형태를 지정합니다.
※ 각도 구속: 지시선의 각도를 미리 정하여 구속할 수 있습니다.


12


※ 부착: 여러줄 문자 옵션을 선택한 경우 탭이 활성화 됩니다.
주석 문자의 좌우측 위치 기준을 설정합니다.

※ 어려 줄 문자 부착: 지주석 문자의 위치를 기준을 설정합니다.
다음과 같은 위치 기준 옵션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 맨 위 행의 맨 위
- 맨 위 행의 중간
- 여러 줄 문자의 중간
- 맨 아래 행의 중간
- 맨 아래 행의 맨 아래

14

[AUTOCAD] AUTOCAD/오토캐드 클래식 전환 설정 방법 공유_CUIX 첨부.

*  출처 :  https://100cm24kg.tistory.com/98


오토캐드 클래식 설정 방법

예전 오토캐드를 오랫동안 이용하신 분들은 요즘 버전이 계속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오토캐드를 다운로드하면

예전과 다른 메뉴 및 툴에 많이 당황들 하십니다. 내가 사용하던 툴이 없어지고 전부 그림 아이콘이 생겨서 평소 명령어로 작업하시지 않는 분들은 엄청 당황해하시죠.

오토캐드 2021 메인화면

오토캐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예전 툴과는 많이 다릅니다. 예전 툴인 오토캐드 클래식을 강제로 설정해야 합니다.

톱니바퀴 설정의 오토캐드클래식이 없다.

원래는 우측 하단의 톱니바퀴를 누르면 오토캐드 클래식이 있는데, 버전이 업그레이드되면서 없어졌습니다.


오토캐드 클래식 설정법

CUIX라는 파일이 일단 필요합니다.


AutoCAD_Classic.cuix
0MB



파일을 다운로드하시고 D드라이브나 혹은 외장하드 지우지 않을 폴더에 넣어 주시고요.

명령어 CUI

명령어 "CUI" 입력을 합니다.

오토캐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창이 하나 뜹니다. 사진에 표시된 "전송" 탭을 클릭해주세요.

인터페이스 사용자화 불러오기

불러오기 탭을 클릭하신 후 아까 위에서 AUTOCAD_CLASSIC.CUIX 파일을 불러오시면 됩니다.

오토캐드 클래식 사용자화 

적용을 하시면 화면과 같이 오토캐드 클래식이라는 목록이 하나 생깁니다. 

오토캐드 클래식 우클릭 → 복사

우클릭 후 복사를 클릭하시고, 사용자화 탭으로 화면을 옮깁니다.

다시 사용자화 탭으로 돌아옵니다.

사용자화 탭

사용자화 탭으로 돌아오셔서 작업공간→ 붙어 넣기를 하여 오토캐드 클래식을 넣습니다.

사용화 탭에 오토캐드 클래식이 생긴 상황

이제 마무리입니다. 적용을 누르시면 됩니다.우측 하단의 톱니바퀴

우측 하단의 "톱니바퀴"를 클릭하시면 저렇게 오토캐드 클래식이 탭이 생겨났습니다.

오토캐드 클래식 버전 설정 완료

저희에게 익숙한 오토캐드 클래식 버전이 완료되었습니다.!!

2024-11-26

오토캐드 수량산출하는 간단한 방법

오토캐드 수량산출하는 간단한 방법 

* 출처 :  https://m.blog.naver.com/autocad114/222550516561


첨부파일

PC ANCHOR.dwg


안녕하세요. 꼬질이에요.

오늘은 오토캐드 수량산출하는 간단한 방법 COUNT 명령을 알려드릴게요.

블로그의 내용설명을 따라서 연습해보실분은 첨부파일을 올려두었으니 연습해보셔도 좋습니다.
실무에서 도면작업하다가 객체의 갯수를 세야될 경우가 한번쯤 생깁니다.

이럴때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수백개 되는 수량을 손으로 하나씩 세어볼수는 없는일입니다.
오늘은 이런 블록이나 객체의 개수를 세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이 방법을 이용하면 도면 내에 원하는 객체가 몇개가 있는지 빠르게 수량파익이 가능합니다.

신입사원이나 차장, 부장급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A3 용지에 크게 출력해서 형광펜으로 하나씩 세보는 분들도 있습니다. 열정과 노력은 박수받을만 하지만 빨리 도면작업하고 퇴근해야하잖아요? (여러분의 퇴근시간은 소중합니다)

*COUNT 명령

1.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화면에는 수량을 파악해야될 객체들이 있습니다. 화면 왼쪽은 특성창인데 CTRL+1을 누르면 생성됩니다. 이상태에서 블록을 하나 선택해봅니다. 특성창에서 PC ANC 라는 블록이름이 확인됩니다.


2. COUNT 명령어를 입력후 실행합니다.


3. 적용위치는 전체도면을 선택해줍니다. 혹은 바로 오른쪽 네모박스를 선택하면 도면에서 원하는 범위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회사에서 실무하시다가 상황에 맞게 이부분은 사용하시면 되고요. 

객체 유형은 우리는 블록객체를 세어볼거니까요. 블록참조로 선택해줍니다. 특성은 위에서 확인했듯이 PC ANC라는 이름을 가진 블록 갯수를 세어볼거니까요. 이름을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하단에 값 항목에 현재 도면에 있는 블록의 이름 리스트가 나열되는데 PC ANC 밖에 없으므로 그걸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TIP-1) 설명을 하기위해 블록참조를 예를 들었지만, 블록이 아닌 다른 객체의 수량파악도 가능하다. 

작업하는 도면내의 수량산출이 가능한 모든 유형들이 객체유형에 표시된다. 

여기에는 문자, 선, 치수, 원, 폴리선, 해치, 타원 등 모두 표시되기때문에 본인이 찾고자하는 객체의 유형을 선택만 해주면 된다.


(TIP-2) 객체유형 선택을 했으면, 현재 도면내에 선택한 객체유형에 적용되어 있는 다양한 특성들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원하는 필터를 선택하면 된다. 

특성 아랫쪽에는 연산자 항목도 있는데 상황에 맞는 필터를 걸어주기만 하면 된다.


4. 그러면 화면에 PC ANC 라는 블록 이름을 가진 객체가 모두 선택됩니다. 명령창에는 객체의 전체 갯수가 표현됩니다. 전부 1500개의 PC ANC 블록이 존재합니다. 여러분 생각해보세요. 

회사 실무하다보면 도면의 객체 갯수를 세려고 A3 용지에 프린트해서 형광펜으로 세는분들 분명히 있습니다. 

2분이면 수량파악이 되는 방법이 있는데 2시간을 갯수세느라 고생하다보면 어느새 저녁 6시고 다른업무를 못해서 야근해야됩니다.


오늘은 COUNT 명령으로 오토캐드도면에서 객체수량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회사 실무를 보다보면 생각보다 수량파악해야될 상황은 많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8-03

AutoCAD에서 Excel로 테이블 내보내기

AutoCAD에서 Excel로 테이블 내보내기

* 출처 : https://www.autodesk.com/kr/support/technical/article/caas/sfdcarticles/sfdcarticles/KOR/Exporting-table-to-Excel.html

Autodesk Support

2024년 5월 27일

문제:

AutoCAD®에서 작성한 테이블을 Microsoft® Excel 테이블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해결 방법:

Microsoft Excel로 테이블을 내보내려면
  1. AutoCAD의 명령행에서 TABLEEXPORT를 입력합니다.
  2. 프롬프트가 표시되면 내보낼 테이블을 선택합니다.
  3. 원하는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CSV 파일 형식으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4. Excel에서 결과 CSV 파일을 엽니다.
  5. 원하는 대로 테이블 형식을 지정합니다.
  6. 파일을 XLS 또는 XLSX 파일로 저장합니다.


2024-04-23

Auto Cad _ 오토캐드 _ 선 굵게 하기, 선굵기 변경 "Pe"

Auto Cad _ 오토캐드 _ 선 굵게 하기, 선굵기 변경 "Pe" 

* 출처 : https://uoohee.tistory.com/25


작업을 하다 보면, 이렇게 선 굵기를 굵게 변경할 일이 필요한데.
인쇄만 굵게 나오게 하고 싶다면,  레이어를 생성해 레이어 선굵기를 설정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레이어 상관없이 일부만 굵기를 변경하고 프다면 이 방법을 추천한다.

PE (PEDIT)

선굵기 변경 및 선 결합.


"PE(PEDIT)" + enter  -> y (전환하기를 원하십니까?)  ->  w (폭) ->  원하는 선 굵기, 숫자 입력


이렇게 순서대로 따라 한 후 원하는 굵기만큼 숫자를 입력을 하면 선의 굵기가 변경 된다.


선 굵기는 이것저것 입력 해보고,  원하는 굵기를  찾는게 좋을 것 같다.
이렇게  변경해 놓으면,  컴퓨터 화면상에도 굵게 보이고
인쇄를 할 경우나,  PDF로 변환했을 경우에도  선이 굵게 보인다.

화면상에 보이는 만큼  굵게 나오기 때문에
인쇄할때도 편리하다.
그 외에도  pe (pedit)  단축키로 설정 가능한 것들이 많은데


선 결합이나,  맞춤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니까 한번 해보는것도 좋다,
방법은 어렵지 않아서  따로  써놓지는 않았지만.

"PE(PEDIT)" + enter  -> y (전환하기를 원하십니까?)  ->  J 결합 ->  결합하고픈 선  드래그 ->  엔터 X2

이걸 이용하면  여러개로 끊어져있거나,   여러개로 이루어진 선들을  하나로 결합가능하다.

(캐드 3D를 사용하거나,   HATCH를 사용할 사람이라면  이 작업을  해놓는것도 좋음)

(끊어져 있는 선을 합쳐주진 않는다.   

예를 들자면       사각형의 선을  라인으로  하나하나 그린것이라면
저    결합을 통해   하나의 사각형을 만들어 주지만

모서리가 결합되어 있지 않는  사각형이라면  자동으로 연결해서 결합해주지는 않는다!)

그 외에 정접편집이나 스플라인 비곡선화 반전 등은 사실 나도  사용해 본적은 없다.

업무상 크게 필요한 적도 없었다.

결합과 스플라인은  비슷한 기능일것같다.

** 선 굵기 **

"PE(PEDIT)" + enter  -> y (전환하기를 원하십니까?)  ->  w (폭) ->  원하는 선 굵기, 숫자 입력

**선 결합 **

"PE(PEDIT)" + enter  -> y (전환하기를 원하십니까?)  ->  J 결합 ->  결합하고픈 선  드래그 ->  엔터 X2

2024-04-10

오토캐드에서 엑셀 표 가져오기

[오토캐드 팁] 오토캐드에서 엑셀 표 가져오기


오토캐드 프로그램내에서 표를 작성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굉장히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때문에 예전에는 엑셀표를 캐드로 옮겨주는 특정 프로그램이 존재하였으며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오토캐드에 있는 데이터링크라는 명령을 통해서 엑셀에서 작성된 표를 캐드로 불러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와 기계설계산업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부품인 스퍼기어의 요목표를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데이터 링크 기능으로 엑셀 표 가져오기

1. 엑셀을 이용하여 표를 작성합니다.


2. 폴더를 선정하여 파일 이름을 정하여 저장합니다. 엑셀 원본과 링크되기 때문에 가능한 캐드파일이 저장될 폴더에 저장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3. 오토캐드를 실행하고 명령표시줄에 [삽입] 메뉴를 선택합니다.


4. 링크 및 추출 패널에서 데이터 링크를 클릭합니다. (2~3번 절차는 명령입력행에 DATALINK 명령어를 입력하여 대치가능합니다.)


5. 데이터 링크 관리자 창이 뜨면 새 Excel 데이터 링크 작성 명령을 클릭합니다.


6. 데이터 링크 이름 입력 창에 이름을 임의로 정하여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새 Excel 데이터 링크 창에 뜨면 [...]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앞써 저장해둔 엑셀파일의 경로에서 해당 엑셀파일을 선택후 열기(O)버튼을 클릭합니다.


9. 다음과 같이 설정후 미리보기창에 엑셀에 입력한 표가 나타나면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10. 데이터 링크 관리자 창에서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11. 명령표시줄에 [주석] 메뉴를 선택합니다.


12. 테이블 패널에서 테이블 명령 버튼을 클릭합니다. (명령입력행에 TABLE 명령어를 입력하여 대치가능합니다.)


13. 삽입 옵션 - 데이터 링크에서(L)을 선택하고 추가한 데이터 링크를 선택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14. 오토캐드에 표를 삽입할 위치를 클릭하거나 좌표를 입력합니다.


15. 다음과 같이 엑셀의 표가 오토캐드내에 삽입됩니다. 표 크기와 정렬등은 캐드의 테이블 수정기능으로 가능합니다. 글자폰트과 크기는 기본적인 문자 스타일인 standard 스타일로 적용됩니다. 사용에 맞게 수정하면 됩니다.


'테이블 데이터 링크 업데이트 기능'을 이용한 테이블 업데이트
데이터 링크라는 이름과 같이 엑셀의 원본내용을 바꾸게 되면 캐드의 삽입된 테이블의 내용도 변경이 가능한 '테이블 데이터 링크 업데이트 기능'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엑셀의 원본 표에서 모듈 값 2를 임의로 3으로 변경하고 저장합니다.


2. 캐드로 돌아와 삽입된 표를 클릭한후 마우스 우측버튼 클릭 → 테이블 데이터 링크 업데이트 명령을 클릭합니다.


3. 다음과 같이 원본의 변경된 내용이 이미 삽입된 테이블에도 적용됨을 알수 있습니다.


데이터 링크 분리
데이터 링크는 기본적으로 원본이 존재해야 합니다. 이는 표가 들어있는 엑셀 파일의 경로가 항상 초기 설정한 위치에 존재해야 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추후 엑셀 표의 내용의 업데이트가 필요없고 단순하게 표 작성의 편의상 엑셀을 이용한 것이라면 이렇게 원본과 연결된 엑셀파일은 관리해야할 불편한 요소에 불가하게 됩니다. 그럼 테이블을 가져온후 원본과 링크되지 않고 단순 테이블로만 존재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삽입된 테이블을 선택하고 드래그 기능을 이용하며 링크를 분리할 모든 셀을 선택합니다.


2. 마우스우측 버튼 클릭 → 데이터 링크 → 데이터 링크 분리 명령을 선택합니다.


3. 테이블 - 데이터 링크 분리 창이 뜨면 예(Y)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까지 엑셀의 표를 오토캐드를 가져오는 데이터 링크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품이 많은 BOM의 경우 엑셀에서 수량등을 쉽게 합계로 확인 할수 있어 검토가 가능한 반면 캐드에서는 입력하는 숫자로만 표현되기에 실수가 발생될 수 있어 데이터 링크기능을 이용하면 이러한 실수를 줄일수 있을거라 기대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데이터 링크 기능이 아닌 단순 복사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한 엑셀 표 가져오기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