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 많으면 뭐해, 하루 여섯 끼 먹나?"
먼저 [4개의 통장 2]에 나오는 이말에 동감하며...







고급 레스토랑에서 음식을 마음것 먹지는 못하지만,
작은가게에서 맛있는 음식을 함께할 가족이 있어 행복합니다.





가족과 함께 여행을 자주하지 못함에 때론 가슴아프지만,
2주에 한번 아이들 얼굴을 볼수 있음에 행복합니다.







그리고 화려하고 큰집은 아니지만,
제가 편하게 쉴수 있는 집이 있어 행복합니다.





저도 [4개의 통장 2]에 소개된 분처럼 모든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작은일에도 고마워할줄 아는 사람으로 살겠습니다.





돈 많으면 뭐해, 하루 여섯 끼 먹나?
일흔네 살의 나이에 서울 회현동 2가 명동 입구에서 구둣집 부스틀 열고 있는 예창기 씨. 그의 구두닦이 경력은 의외로 짧았다.
“여기서 이거 한 지는 한 4년 된거 같은데 ? "
한국 전쟁 때 부모틀 잃고 초등학교도 졸업 못한 18살 소년이 서울로 올라와 할 수 있는 것은 어깨에 구두통을 메고 거리로 나서는 일밖에 없었다. 삶이 어려운 시절,‘아이스케키’ 파는 일부터 호떡 장사. 남의 집 운전기사까지 먹고사는 일이라면 닥치는 대로 했다. 그러고 보니 정작 구두닦이 일을 한 건 1년 정도밖에 안 됐다. 그 일을 70살에 다시 시작한 것 .
“그래도 내가 손재주는 타고난 거 같아. 옛날부터 뭐 고장 나면 내가 다 고쳤으니까. 자동차 엔진도 직접 고쳤는데, 이일 정도야 기술이라고 할 수도 없지. 금방 다 기억 나더라고. "
20년 전 부인올 잃고 지금은 아들 부부와 같이 산다는 예씨는 지금이 인생에서 제일로 행복하다고 한다.
"애들 다 커서 부양할 일도 없고. 그냥 나 혼자 벌어서 내 용돈 하고. 먹고 싶은 거 먹고. 담배 한 갑 피우고, 부족한 게 없어 좋아. 돈 많으면 뭐해. 하루 여섯 끼 먹나?"
지금도 소주 한 병을 마셔도 끄떡없다는 예씨는 매일 경기도 파주 집에서 첫 차를 타고 나와 새벽 6시30분이면 어김 없이 부스 문을 연다.
“노는 건 습관이 안 돼서 못 놀아. 그냥 여기서 일해야 시간도 잘 가거든. 이 나이에 일할 수 있다는 게 고마워. "
인생의 황혼기가 가장 행복하다는 예씨. 평생을 일하면서 흘린 땀방울이 그에게 가져다준 대가였다.
출처: 한겨레21. 210년 4월 12일 제805호. 윤운식 기자
* 출처 : [4개의 통장 2] 중에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