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

PC끼리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기



* 출처 : https://m.blog.naver.com/kangyh5/222460315256 

 PC끼리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기 

 두 대의 PC를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본다. 여러 대의 PC가 있는 경우, 공유기나 네... blog.naver.com 두 대의 PC를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본다. 

여러 대의 PC가 있는 경우, 공유기나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PC끼리 랜선(RJ45)으로 직접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 우리는 이 PC에서 저 PC로 파일이나 데이터를 이동 또는 백업할 때, 보통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복사하여 붙여 넣기을 시도한다. 이렇게 USB 메모리를 이용할 경우 복/붙을 2번 시도해야 하며, 데이터 량이 작을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데이터 량이 많을 경우 시간도 오래 걸린다. 

더구나 USB 메모리 용량이 작을 경우 데이터를 나누어 여러번에 걸쳐 복/붙을 시도해야 한다. ​ 하지만 PC끼리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여 복/붙을 수행한다면, 복/붙을 한번만 시도해도 되고, 데이터 량에 구애받지 않고 얼마든지 복/붙을 수행할 수 있다.

 ​아무튼 PC끼리 랜선으로 연결할 경우, 복/붙 외에 여러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도 있으므로 그 방법을 익혀 보자.



1. PC끼리 연결하기 ​

 1) 만약 대상 PC가 노트북이라면 먼저 무선 네트워크(와이파이)를 비활성화시킨다.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인터넷(Wi-Fi) (클릭) -> [사용 안 함] (클릭) ->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Previous imageNext image 그냥 진행해도 되지만, 깔끔한 작업 진행을 위해 불필요한 랜 카드는 비활성화시킨다. ​ ​ ​ ​

 2) PC끼리 랜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그냥 랜선(RJ45)을 이용하여 두대의 PC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USB 메모리를 뺐다 꼽았다, 뺐다 꼽았다하는 것보다 더 간편하다. ​

 3) 랜선으로 PC끼리 연결하면, 두 PC의 작업 표시줄에 네트워크 아이콘이 지구본 모양으로 변경될 것이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표시‘ 화면을 확인해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라 표시될 것이다.



2. 네트워크 설정하기

 ​두 대의 PC를 랜선으로 연결하였다면, 이제 PC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다. 

 1) 데스크톱 PC의 네트워크 설정하기 ​ 데스크톱 PC에 임의의 IP 주소(192.168.0.10)와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를 입력한다. 기본 게이트웨이는 상대 PC의 IP 주소(192.168.0.20)를 입력한다.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이더넷 (클릭) -> [속성] (클릭)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TCP/IPv4) (선택) -> [속성] (클릭) ->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기본 게이트웨이 (입력) -> [확인] (클릭) Previous imageNext image 데스크톱 PC의 IP 주소는 아무거나 임의로 입력해도 되지만, 가능하면 규정된 사설 IP 대역을 사용하자.

 ​* 네트워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서, 각자의 개별적인 상황을 획일화하기 위해 데스크톱 PC의 부팅을 권장한다.



2) 노트북 PC의 네트워크 설정하기 ​

 이제 노트북 PC에 임의의 IP 주소(192.168.0.20)와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를 입력한다.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는 상대 PC의 IP 주소(192.168.0.10)을 입력한다.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이더넷 (클릭) -> [속성] (클릭)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TCP/IPv4) (선택) -> [속성] (클릭) ->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기본 게이트웨이 (입력) -> [확인] (클릭) Previous imageNext image 즉, PC의 IP 주소는 임의의 주소를 입력하고, 기본 게이트웨이는 상대 PC의 IP 주소를 교차하여 입력한다.(중요) ​

 * 노트북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서, 각자의 개별적인 상황을 획일화하기 위해 노트북 PC의 부팅을 권장한다.



3) 네트워크 확인하기 ​



 이렇게 두 PC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면, 두 PC는 자동으로 네트워크 검색을 수행하고 통신이 이루어진다. 두 PC 간에 통신 라인이 구축되면, 각 파일 탐색기의 네트워크에 ‘컴퓨터 이름’으로 서로의 PC가 나타나게 된다. ( 데스크톱 PC의 네트워크 ) ​ ​ ( 노트북 PC의 네트워크 ) ​ 이제 PC끼리 복/붙을 수행할 수 있다. ​ 여기서 복/붙을 수행하려면, 대상 폴더는 미리 ‘공유 폴더’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PC끼리 연결한 후에 대상 폴더를 ‘공유 폴더’로 설정해도 상관은 없다. 나중에 대상 드라이브(C:) 전체를 ‘공유 폴더’로 지정하면, 훨씬 더 간편하게 복/붙을 수행할 수 있다. ​ ‘공유 폴더’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기 바란다. ​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설정 방법 ] ​ https://m.blog.naver.com/kangyh5/222014239962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설정 방법 (윈도우10) 


아래와 같이 이전 포스트 [PC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에서 1단계 네트워크 ‘연결 속성’과 2단계 [고... m.blog.naver.com 3. PC 간에 연결이 안될 경우 ​ 그러나 PC끼리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로 연결 하여도, 파일 탐색기의 네트워크에 서로의 PC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을 체크해 보자.


 ​1) 활성 네트워크 체크하기 ​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활성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네트워크가 '공용 네트워크'일 경우 [고급 공유 설정 변경] 화면에 진입하여 '게스트 또는 공용(현재 프로필)'의 상태를 체크한다. ​ -. '게스트 또는 공용(현재 프로필)'이 '네트워크 검색 끄기'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네트워크 검색 켜기'로 설정을 변경한다. ​ 이렇게 하면 각 PC의 네트워크에 내 PC와 상대 PC가 나타날 것이다. ​ 아니면, ​


 2) 네트워크 프로필 체크하기 ​ -. 네트워크가 '공용 네트워크'일 경우 네트워크를 '개인 네트워크'로 변경해 본다. ​ 작업 표시줄의 네트워크 아이콘(지구본) (클릭)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클릭) -> 상태 (선택) -> 이더넷 [속성] (클릭) -> 네트워크 프로필에서 "개인" (선택) -> 이후 활성 네트워크가 '개인 네트워크'으로 변경됨.(확인) Previous imageNext image 이렇게 하면 각 PC의 네트워크에 내 PC와 상대 PC가 나타날 것이다. ​ -. 이후에 두 PC가 ‘개인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개인 네트워크’의 [고급 공유 설정 변경]의 설정 상태를 확인해 보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고급 공유 설정 변경] (클릭) -> 개인(현재 프로필) -> '네트워크 검색 켜기'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확인) ​ 즉 '공용 네트워크'를 '개인 네트워크'로 변경하면, [고급 공유 설정 변경]의 현재 프로필이 '공용'에서 ‘개인'으로 변경되면서 '네트워크 검색 켜기'와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로 설정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ok! ​ ​


 3) 그래도 안될 경우 지난 블로그인 [ PC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을 참고하여 다시 시도해 보자. ​ [ PC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윈도우10) ] ​ https://m.blog.naver.com/kangyh5/22200709967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