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https://m.blog.naver.com/designjaengi0522/221511792816
제가 지금부터 알려드릴 계산 방식에 대해 알고 계신 분들이 더 많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세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 분들은 이 글을 안 보셔도 되겠죠?
하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들은 한번 읽어 보시고 어떤 내용인지 알고 계신다면
일을 하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계산 방식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나누기만 계산할 수 있는 걸로 알고 계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세 가지 방법 중에 두 가지는 나누기만 계산이 되는 방식 이고
나머지 한 가지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되는 방법 입니다.
지금부터 계산 방식의 세 가지 입력 방법 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소수점이 없는 정수의 나누기 방법 입니다.
예를 들어 선을 한 개 그리는데 75 의 반값을 가진 선을 그리려고 하는데
머릿속에서 빠르게 계산이 안된다면 나누기 계산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선(Line) 그리기 명령어에서 선의 시작점을 클릭하고
선을 그리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긴 후에 수치를 입력하는데
' 75/2 '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클릭하면
' 37.5 '의 길이를 가진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대부분 알고 계실 겁니다.
다음은 두 번째인 소수점이 있는 나누기 방법 입니다.
오토캐드는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가 있다면 나누기가 되지 않습니다.
이럴 땐 분모와 분자에 소수점이 없어지게 10 또는 100 등을 곱해서
소수점 없이 만든 수를 나누기 방식으로 입력해서 계산을 하면 됩니다.
이것이 두 번째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객체가 있다면 이 사각형을 복사(Copy) 하기 명령어로 오른쪽으로
95.5 의 반값을 가진 간격으로 복사를 한다면
95.5/2 를 입력하면 되지만 오토캐드는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가 있다면
나누기가 되지 않는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분자와 분모에 소수점을 없애기 위해서 10 을 곱하므로 소수점이 사라지게 됩니다.
96x10/2x10
955/20 이 되므로 소수점이 사라졌습니다.
이 수를 입력하게 되면 원하는 거리 만큼 복사를 할 수가 있습니다.
오토캐드 명령창에 ' CO '를 입력하고 엔터 클릭
사각형 객체 선택하고 엔터 클릭
기준점 클릭하고
복사하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긴 후에
명령창에 ' 955/20 ' 입력하고 엔터 클릭을 하면
복사가 됩니다. 복사된 거리 값을 입력해보면
47.75의 거리만큼 이동해서 객체가 복사가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수점이 있는 수의 경우 분자와 분모에 같은 수를 곱해서 소수점을
없앤 후에 나누기 계산 방식을 입력하면 계산된 거리 값으로 그려지거나
복사, 이동 등이 됩니다.
다음은 세 번째인 오토캐드 내에 있는 계산기(Calculator)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방법 입니다.
이 방법은 소수점이 있어도 계산이 가능하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도 계산이 가능한 방법 입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에 숫자를 입력하기 전에
명령창에 'cal 을 입력하면 됩니다.
작은따옴표(')도 입력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선을 한 개 그려서 간격 띄우기(Offset) 명령어로 위의 기능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간격 띄우기(Offset), 자르기(Trim), 연장하기(Extend) 명령어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참고하세요.
먼저 덧셈 계산 방식 입니다.
오토캐드 명령창에
' O '를 입력하고 엔터 클릭
다음은 간격 띄우려는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명령창에
'CAL
입력하고 엔터 클릭
그러면 명령창에 보면 계산기 모양의 그림이 보이며 오른쪽에는 표현식 이라는
글이 보입니다. 여기에 계산해야 되는 수치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명령창에 ' 25+65 ' 입력하고 엔터 클릭
그런 다음 선을 선택해서 띄우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기고 클릭합니다.
치수를 입력해보면 위에서 입력했던 덧셈 계산식에 대한 거리 값을 가진
90mm 간격 띄우기가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곱셈을 해보겠습니다.
오토캐드 명령창에 ' O '를 입력하고 엔터 클릭
다음은 명령창에 'CAL 입력하고 엔터 클릭
계산기 모양의 그림이 보이고 오른쪽에는 표현식 이라는 글이 보이면
' 21.55*2.3 '을 입력하고 엔터 클릭합니다.
선을 선택해서 띄우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기고 클릭
치수를 입력해보면 위에서 입력했던 소수점의 곱셈 계산식에 대한 거리 값을 가진
50mm 간격 띄우기가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토캐드에 있는 계산기 기능을 사용하면
소수점이 있어도 계산이 가능하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여러분들이 다른 명령어로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에
'CAL 을 입력한 후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과 소수점이 들어간 계산식 을
입력해서 사용을 해보시면 계산이 가능하다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아니지만 만약 소수점 자리수가 길다고 한다면
별도의 계산기를 이용해서 나온 수치를 다시 명령창에 입력을 하는 번거로움은
없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수치를 입력하는 명령어에 사용되는
계산 방식의 세 가지 입력 방법 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글과 동영상을 보시고 맘에 드신다면 공감과 댓글도 부탁드립니다.
여러분들의 관심이 글과 동영상을 올리는데 힘이 된다는 걸 잊지 마시고요.
제가 지금부터 알려드릴 계산 방식에 대해 알고 계신 분들이 더 많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세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 분들은 이 글을 안 보셔도 되겠죠?
하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들은 한번 읽어 보시고 어떤 내용인지 알고 계신다면
일을 하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계산 방식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나누기만 계산할 수 있는 걸로 알고 계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세 가지 방법 중에 두 가지는 나누기만 계산이 되는 방식 이고
나머지 한 가지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되는 방법 입니다.
지금부터 계산 방식의 세 가지 입력 방법 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소수점이 없는 정수의 나누기 방법 입니다.
예를 들어 선을 한 개 그리는데 75 의 반값을 가진 선을 그리려고 하는데
머릿속에서 빠르게 계산이 안된다면 나누기 계산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선(Line) 그리기 명령어에서 선의 시작점을 클릭하고
선을 그리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긴 후에 수치를 입력하는데
' 75/2 '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클릭하면
' 37.5 '의 길이를 가진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대부분 알고 계실 겁니다.
다음은 두 번째인 소수점이 있는 나누기 방법 입니다.
오토캐드는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가 있다면 나누기가 되지 않습니다.
이럴 땐 분모와 분자에 소수점이 없어지게 10 또는 100 등을 곱해서
소수점 없이 만든 수를 나누기 방식으로 입력해서 계산을 하면 됩니다.
이것이 두 번째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객체가 있다면 이 사각형을 복사(Copy) 하기 명령어로 오른쪽으로
95.5 의 반값을 가진 간격으로 복사를 한다면
95.5/2 를 입력하면 되지만 오토캐드는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가 있다면
나누기가 되지 않는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분자와 분모에 소수점을 없애기 위해서 10 을 곱하므로 소수점이 사라지게 됩니다.
96x10/2x10
955/20 이 되므로 소수점이 사라졌습니다.
이 수를 입력하게 되면 원하는 거리 만큼 복사를 할 수가 있습니다.
오토캐드 명령창에 ' CO '를 입력하고 엔터 클릭
사각형 객체 선택하고 엔터 클릭
기준점 클릭하고
복사하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긴 후에
명령창에 ' 955/20 ' 입력하고 엔터 클릭을 하면
복사가 됩니다. 복사된 거리 값을 입력해보면
47.75의 거리만큼 이동해서 객체가 복사가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수점이 있는 수의 경우 분자와 분모에 같은 수를 곱해서 소수점을
없앤 후에 나누기 계산 방식을 입력하면 계산된 거리 값으로 그려지거나
복사, 이동 등이 됩니다.
다음은 세 번째인 오토캐드 내에 있는 계산기(Calculator)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방법 입니다.
이 방법은 소수점이 있어도 계산이 가능하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도 계산이 가능한 방법 입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에 숫자를 입력하기 전에
명령창에 'cal 을 입력하면 됩니다.
작은따옴표(')도 입력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선을 한 개 그려서 간격 띄우기(Offset) 명령어로 위의 기능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간격 띄우기(Offset), 자르기(Trim), 연장하기(Extend) 명령어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참고하세요.
먼저 덧셈 계산 방식 입니다.
오토캐드 명령창에
' O '를 입력하고 엔터 클릭
다음은 간격 띄우려는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명령창에
'CAL
입력하고 엔터 클릭
그러면 명령창에 보면 계산기 모양의 그림이 보이며 오른쪽에는 표현식 이라는
글이 보입니다. 여기에 계산해야 되는 수치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명령창에 ' 25+65 ' 입력하고 엔터 클릭
그런 다음 선을 선택해서 띄우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기고 클릭합니다.
치수를 입력해보면 위에서 입력했던 덧셈 계산식에 대한 거리 값을 가진
90mm 간격 띄우기가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곱셈을 해보겠습니다.
오토캐드 명령창에 ' O '를 입력하고 엔터 클릭
다음은 명령창에 'CAL 입력하고 엔터 클릭
계산기 모양의 그림이 보이고 오른쪽에는 표현식 이라는 글이 보이면
' 21.55*2.3 '을 입력하고 엔터 클릭합니다.
선을 선택해서 띄우려는 방향으로 마우스를 옮기고 클릭
치수를 입력해보면 위에서 입력했던 소수점의 곱셈 계산식에 대한 거리 값을 가진
50mm 간격 띄우기가 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토캐드에 있는 계산기 기능을 사용하면
소수점이 있어도 계산이 가능하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여러분들이 다른 명령어로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에
'CAL 을 입력한 후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과 소수점이 들어간 계산식 을
입력해서 사용을 해보시면 계산이 가능하다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아니지만 만약 소수점 자리수가 길다고 한다면
별도의 계산기를 이용해서 나온 수치를 다시 명령창에 입력을 하는 번거로움은
없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수치를 입력하는 명령어에 사용되는
계산 방식의 세 가지 입력 방법 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