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식 제사 | |
![]() |
기독교에서는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다만 기일(忌日)을 맞으면 가족 및 친지가 모여 추도식을 한다.
주례자로 목사를 모시든가 장로나 집사가 대행한다.
다만 기일(忌日)을 맞으면 가족 및 친지가 모여 추도식을 한다.
주례자로 목사를 모시든가 장로나 집사가 대행한다.
| |||
1) 찬송 | 대개 423장이나 501장을 부르는데, 그 선택은 주례자가 임의로 하며 일동이 함께 부른다. | ||
2) 기도 | 주례자가 혼자 대표로 한다. 그 내용은 돌아가신 이를 생각하여 유족들이 슬퍼할 것이 아니라 하늘의 영광을 바라보고 위안과 소망을 갖게 하여 달라는 것이다. | ||
3) 성경낭독 | 열왕기 상 2장 1절부터 3절까지, 잠언 3장 1절부터 10절까지, 누가복음 16장 19절부터 31절까지, 묵시록 21장 1절부터 8절까지를 목사가 봉독합니다. | ||
3) 찬송 | 모두 75장을 찬송합니다. | ||
4) 기념추도 | 주례자가 돌아가신 분의 행적이나 유훈을 말한다. | ||
5) 묵도 | 약 3분간 마음속으로 기도를 한다. | ||
6) 찬송 | 모두, 대개 505장을 찬송합니다. | ||
7) 주기도문 | 참례자 모두가 스스로 한다. |
기독교에서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은 고인을 추모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고, 고인을 신격화(神格化)하여 숭배하지 않는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