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식 제사 | |
![]() |
불교에서는 소기(小基: 장례 후 1년)와 대기(大基 : 장례후 2년)를 맞이하거나 죽은 이의 생일을 맞이하면 절을 찾아가 추도 의식을 갖는다.
| |||
1) 개식(開式) | 먼저 사회자, 즉 법사(法師)의 개식 선언으로 추도식을 시작한다. | ||
2) 삼귀의례(三歸依禮) | (三歸衣禮)불, 법, 승의 삼보(三寶)에 귀의한다는 의식을 베푼다. | ||
3) 독경(讀經) | 반야심경을 법주가 읽는다. | ||
4) 묵도(默禱) | 참석자 일동이 입정(入定= 방에 들어가 앉아 선정(禪定)에 듦을 뜻하는 말)하여 드린다. | ||
5) 추도문 낭독 .. (追悼文 朗讀) | 죽은 이의 약력보고를 함께 하기도 한다. | ||
6) 추도사(追悼辭) | 법주가 하는 것으로 추도와 위안을 겸한다. | ||
7) 감상(感想) | 내빈 중 대표자가 가족에 대한 위로의 말을 한다. | ||
8) 분향(焚香) | 유족이 먼저 하고 다음에는 참가자가 분향한다. | ||
9) 답사(答辭) | 내빈의 감사에 대한 답례로 제주가 한다. | ||
10) 폐식(閉式) | 개식을 선언한 사회자가 한다. |
이외에도 재(齋)와 영반(靈飯)이 있는데, 재(齋)는 사십구재(四十九齋)와 칠칠제(七七齋)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고인이 돌아가신 후 49일만에 지내는 불공이 사십구재이고, 고인이 돌아가신 후 77만에 지내는 불공이 곧 칠칠재인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