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방송 잘봤습니다.

사람들은 그녀들을 독립운동가의 아내로 기억한다

정정화 독립운동가
내가 독립운동을 안 하면 누가 가겠어요

독립운동사 이면에 가려졌던
절반의 역사

여성들도 누구의 아내, 그런 이름이 아니라

이은숙
김우락
박자혜
정정화

독립운동의 주체로서 이름이 알려져야 한다

아내의 이름

아내의 이름
KBSI
이경성 배우
이내의 이름

신채호
이회영
김의한
이상룡

박자혜
이은숙
정정화
김우락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박자혜, 신채호 결혼사진 |


박자혜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9년 3월 10일 조선총독부 부속병원의
조산원 및 간호원들을 동원하여 독립만세를 주도하고 (중략)
중국으로 탈출하여 신채호와 결혼하고
남편의 광복 운동을 적극 지원하다가
1924년 귀국하여 독립지사들간의 연락, 정보, 편의 제공 등을
하다가 독립운동으로 인하여 얻은 지병으로 49세를 일기로 사망

이은숙 1889-1979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의 아내

이은숙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0년 남편 이회영 및 그 일가족과 함께
중국 길림성 유하현 삼원보로 이주하여
신흥무관학교 설립 등 독립운동기지 개척에 일조함
1919년 중국 북경으로 가서
이회영과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을 지원하다
1925년 귀국하여 독립운동자금을 조달함


정정화 독립운동가 (생전 인터뷰)
내가 (스스로) 한 거지 누가 시킨 걸 하겠어요?

정정화
1900-1991
독립운동가, 김의한의 아내

정정화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9년 3.1운동직후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 김구, 이동녕을 도왔으며
1940년에는 한국여성동맹을 창립하였고
1943년에는 대한애국부인회의 재건
조직에 참여하여 훈련부장으로 국내외 부녀의 총단결과
임시정부 옹호에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김우락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1년 2월 경북 안동에서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한 뒤 '해도교거사', '간운사' 등을 지어
독립운동 참여를 다짐하는 등 1932년 귀국할 때까지 경학사, 부민단, 신흥무관학교 서로군정서 등을 이끌었던 남편 이상룡을 도와 독립운동을 지원함


여성들도 누구의 아내, 그런 이름이 아니라




기예과는 가사를 비롯해 실과에 관련된 과목들을 배운 것으로 백년사에 적혀있습니다.


박자혜는 숙명여학교 출신으로서 항상 과격한 언론(論)을 하는 자로서 3월 6일 오후 8시경 동원 간호부 전부를 통해 독립만세를 고창한 주모자이며....





박자혜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9년 3월 10일 조선총독부 부속병원의
조산원 및 간호원들을 동원하여 독립만세를 주도하고 (중략)
중국으로 탈출하여 신채호와 결혼하고
남편의 광복 운동을 적극 지원하다가
1924년 귀국하여 독립지사들간의 연락, 정보, 편의 제공 등을
하다가 독립운동으로 인하여 얻은 지병으로 49세를 일기로 사망

평택 진위, 남양주, 양주에 있었던 땅 수백만 평을 급매로 팔고 주고 했던 땅인데




죽을 쑤는 때면 상을 가지고 나갈 수 없게
얼굴이 화끈 달아올랐다
이은숙 회고록 <서간도 시종기〉 中





이은숙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0년 남편 이회영 및 그 일가족과 함께
중국 길림성 유하현 삼원보로 이주하여
신흥무관학교 설립 등 독립운동기지 개척에 일조함
1919년 중국 북경으로 가서
이회영과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을 지원하다
1925년 귀국하여 독립운동자금을 조달함












정정화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1919년 3.1운동직후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 김구, 이동녕을 도왔으며
1940년에는 한국여성동맹을 창립하였고
1943년에는 대한애국부인회의 재건
조직에 참여하여 훈련부장으로 국내외 부녀의 총단결과
임시정부 옹호에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너희들도 어서어서 아버지를 따라 복국을 하기 위해 힘을 써라, 우리 남편 장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